본문 바로가기
Information

퇴직 시 남은 연차수당, 어떻게 계산하고 받나요?

by 16skdjfa 2024. 2. 29.
퇴직 시 남은 연차수당, 어떻게 계산하고 받나요?
배너2 당겨주세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퇴직 시 남은 연차수당, 어떻게 계산하고 받나요?

 

회사를 퇴직할 때, 근로자가 사용하지 않은 연차 휴가에 대한 대가로 연차수당이 지급됩니다. 하지만 연차수당 계산 방법이 생소하거나 복잡하다고 느껴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퇴직 시 연차수당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퇴직 시 연차수당 계산 방법

퇴직 시 연차수당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계산됩니다.

  • 1일 통상임금 기준 계산
  • 평균임금 기준 계산

1. 1일 통상임금 기준 계산

1일 통상임금은 하루 근무에 대한 임금을 말합니다. 이 방법은 계산이 간편하지만, 근로 기간 중 임금 변동이 있었던 경우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계산 방법:

  • 1일 통상임금 = 월 통상임금 ÷ 월 소정 근로 시간 × 1일 근로 시간
  • 연차수당 = 1일 통상임금 × 미사용 연차일수

예시:

  • 월 통상임금: 3,000,000원
  • 월 소정 근로 시간: 208시간
  • 미사용 연차일수: 5일
  1. 1일 통상임금 = 3,000,000원 ÷ 208시간 × 8시간 = 14,423원
  2. 연차수당 = 14,423원 × 5일 = 72,115원

2. 평균임금 기준 계산

평균임금 기준 계산은 근로 기간 중 실제 지급받은 임금을 모두 반영하여 보다 정확한 연차수당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3개월간의 임금 자료를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1일 통상임금 기준 계산보다 다소 복잡합니다.

계산 방법:

  • 1일 평균임금 = 3개월간 총 임금 ÷ 3개월간 총 근로 일수
  • 연차수당 = 1일 평균임금 × 미사용 연차일수

예시:

  • 3개월간 총 임금: 9,000,000원
  • 3개월간 총 근로 일수: 276일
  • 미사용 연차일수: 5일
  1. 1일 평균임금 = 9,000,000원 ÷ 276일 = 32,608원
  2. 연차수당 = 32,608원 × 5일 = 163,040원

주의사항

  • 퇴직 시 연차수당 지급 여부와 계산 방법은 고용 계약서나 근로 규칙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퇴사 시 연차수당에 대한 문의는 소속 부서 인사담당 또는 노동 기관에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퇴직 시 남은 연차에 대한 대가로 지급되는 연차수당은 근로자의 권리입니다.
정확한 계산 방법을 알고 적절한 금액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 글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더 자세한 자료 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