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formation

윈도우 10 복구시점 만들기 - 중요한 순간을 되돌리자!

by 16skdjfa 2024. 2. 4.
반응형

윈도우 10 복구시점 만들기 - 중요한 순간을 되돌리자!

컴퓨터 사용하다 보면 드라이버 설치, 중요 업데이트, 프로그램 변경 등 시스템에 변화를 주는 작업을 수행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변경 후 문제가 발생하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걱정하지 마세요! 윈도우 10에는 "시스템 복구" 기능을 통해 이전의 안정적인 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복구시점"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윈도우 10에서 복구시점을 만드는 방법과 주의사항을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 복구시점이란?
  • 복구시점 만들기 3가지 방법
    • 그래픽 인터페이스 사용
    • 명령 프롬프트 사용
    • 스케줄러를 통한 자동 생성
  • 복구시점 사용 시 주의사항
  • 마무리

복구시점이란?

복구시점은 시스템 파일, 레지스트리 설정, 드라이버 등 시스템 상태의 스냅샷입니다. 이 시점으로 되돌리면 최근 변경된 설정이나 설치된 프로그램이 제거되고 이전의 안정적인 상태로 복구됩니다. 하드웨어 문제는 물론 아니지만 소프트웨어 설치 후 시스템 불안정, 드라이버 업데이트 문제, 바이러스 제거 후 부작용 등 여러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복구시점 만들기 3가지 방법

윈도우 10에서 복구시점을 만드는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1. 그래픽 인터페이스 사용

가장 간편한 방법은 시스템 설정을 통해 직접 만드는 것입니다.

  1. 작업 표시줄 검색창에서 "복구시점 만들기" 검색
  2. 검색 결과 "복구 지점 만들기" 클릭
  3. "시스템 속성" 창에서 "시스템 보호" 탭 이동
  4. 시스템 드라이브 (보통 C 드라이브) 선택 후 "구성" 버튼 클릭
  5. "시스템 복구 켜기" 선택 및 원하는 디스크 공간 할당 후 "확인" 클릭
  6. "만들기" 버튼 클릭하고 복구시점 이름 입력 (예: 드라이버 업데이트 전)
  7. "만들기" 버튼 클릭 후 완료 메시지 확인

2. 명령 프롬프트 사용

명령 프롬프트를 통해서도 복구시점을 만들 수 있습니다.

  1.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프롬프트 실행
  2. 다음 명령어 입력 후 Enter 키 누름 
  3.  (예: system restore create "업데이트 전 상태")
  4. system restore create "복구시점 이름"

3. 스케줄러를 통한 자동 생성

시스템 변경이 자주 발생하는 경우 스케줄러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복구시점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1. 작업 스케줄러 실행 (작업 표시줄 검색창에서 "작업 스케줄러" 검색)
  2. "작업 만들기" 클릭
  3. 일반 탭에서 작업 이름 입력 및 트리거 설정 (예: 매일 로그인 시)
  4. 작업 작업탭에서 "프로그램 또는 스크립트 시작" 선택
  5. 추가 버튼 클릭 후 "C:\Windows\System32\Restore\Restore.exe" 입력
  6. 인수(옵션)란에 "CreateRestorePoint" 입력 후 확인
  7. 조건 탭과 설정 탭에서 원하는 설정 적용 후 확인

복구시점 사용 시 주의사항

복구시점을 사용할 때는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 복구시점은 시스템 전체를 복구하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 파일과 설정만 되돌립니다. 개인 파일이나 데이터는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 복구시점을 만들 때는 시스템 변경 작업 직전에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 하드웨어 문제는 복구시점으로 해결되지 않습니다.
  • 복구시점을 너무 많이 만들면 디스크 공간을 많이 차지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만큼만 생성하고 정기적으로 정리하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