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찮음 끝! 윈도우10 화면보호기, 단 1분 만에 영구 끄는 초간단 비법"
목차
- 윈도우10 화면보호기, 왜 꺼야 할까?
- 가장 빠르고 쉬운 화면보호기 끄는 방법 (디스플레이 설정 이용)
- 개인 설정 메뉴로 진입하기
- 화면 보호기 설정 창 열기
- 화면 보호기 '없음'으로 설정하고 저장하기
 
- 고급 사용자를 위한 또 다른 방법: 레지스트리 편집
-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하기
- 해당 경로로 이동하여 값 수정하기
 
- 화면 보호기 대신 전원 관리 설정 활용하기
- 전원 및 절전 설정 접근
- 화면 끄기 및 절전 모드 시간 조정
 
1. 윈도우10 화면보호기, 왜 꺼야 할까?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화면보호기(Screen Saver) 기능은 과거 CRT 모니터의 번인(Burn-in)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하지만 현재 LCD, LED 모니터가 대중화되면서 번인 현상에 대한 우려는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오히려 화면보호기가 작동하기 위해 대기하는 시간이 길게 설정되어 있지 않더라도, 작업 중 잠시 자리를 비웠다가 돌아왔을 때 비밀번호를 다시 입력해야 하거나, 화면보호기가 실행되면서 일시적인 딜레이를 유발하는 등 불편함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동영상 감상이나 게임 플레이 중 예기치 않게 화면보호기가 켜져 몰입을 방해받는 경험은 누구나 해봤을 것입니다. 따라서 화면보호기를 완전히 끄고, 대신 효율적인 전원 관리 설정으로 화면을 보호하고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이 윈도우 10 환경에서는 훨씬 실용적이고 빠릅니다. 이제 가장 쉽고 빠른 방법부터 고급 설정까지, 윈도우 10 화면보호기를 영구적으로 끄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2. 가장 빠르고 쉬운 화면보호기 끄는 방법 (디스플레이 설정 이용)
윈도우 10에서 화면보호기를 끄는 가장 일반적이고 권장되는 방법은 '개인 설정' 메뉴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몇 번의 클릭만으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어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으며, 변경 사항이 즉시 적용되어 화면보호기의 불편함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개인 설정 메뉴로 진입하기
가장 먼저, 바탕 화면의 빈 공간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합니다. 나타나는 메뉴에서 가장 아래에 있는 '개인 설정(Personalize)'을 선택하여 설정 창을 엽니다. 또는 윈도우 시작 버튼($\text{Start}$)을 클릭하고 설정($\text{Settings}$) 아이콘(톱니바퀴 모양)을 누른 후 '개인 설정'을 선택해도 동일한 창으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
개인 설정 창이 열리면, 왼쪽 메뉴 목록에서 '잠금 화면(Lock screen)'을 클릭하여 관련 설정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화면 보호기 설정 창 열기
'잠금 화면' 설정 페이지의 스크롤을 아래로 내리면, 관련 설정 항목 중 '화면 보호기 설정(Screen saver settings)'이라는 하이퍼링크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 링크를 클릭하면 별도의 작은 팝업 창인 '화면 보호기 설정' 창이 나타납니다. 이 창이 바로 화면보호기의 작동 여부와 시간을 설정하는 핵심 공간입니다.
화면 보호기 '없음'으로 설정하고 저장하기
'화면 보호기 설정' 창에는 '화면 보호기($\text{Screen saver}$)'라는 드롭다운 메뉴가 가장 위에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3$\text{D}$ 텍스트', '비어 있음', '버블' 등 여러 항목 중 하나로 설정되어 있을 것입니다. 화면보호기를 완전히 끄기 위해서는 이 드롭다운 메뉴를 클릭하여 가장 위에 있는 '(없음)$\text{(None)}$'을 선택해야 합니다.
'(없음)'을 선택하면, 아래에 있던 '대기($\text{Wait}$)' 시간 설정이나 '다시 시작할 때 로그온 화면 표시($\text{On resume, display logon screen}$)'와 같은 모든 설정 옵션이 비활성화됩니다. 이는 화면보호기 기능 자체가 비활성화되었음을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창 아래에 있는 '적용($\text{Apply}$)' 버튼을 누른 후 '확인($\text{OK}$)' 버튼을 클릭하여 설정을 저장하고 창을 닫습니다. 이제 윈도우 10에서 화면보호기는 더 이상 작동하지 않습니다. 이 방법이 윈도우 10 화면보호기를 끄는 가장 빠르고 쉬운 방법입니다.
3. 고급 사용자를 위한 또 다른 방법: 레지스트리 편집
일반적인 방법으로 해결되지 않거나, 다수의 PC 설정을 일괄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고급 사용자라면 윈도우 레지스트리(Registry) 편집을 통해 화면보호기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도 있습니다. 레지스트리 편집은 시스템의 핵심 설정을 건드리는 작업이므로, 작업 전 반드시 현재 레지스트리를 백업하고 신중하게 진행해야 합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하기
윈도우 검색 창(또는 $\text{Windows} + \text{R}$ 실행 창)에 'regedit'을 입력하고 실행하여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엽니다. 사용자 계정 컨트롤($\text{UAC}$) 창이 나타나면 '예($\text{Yes}$)'를 클릭하여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해당 경로로 이동하여 값 수정하기
레지스트리 편집기 왼쪽 탐색 창에서 다음 경로를 따라 이동합니다.
$\text{HKEY_CURRENT_USER} \rightarrow \text{Control Panel} \rightarrow \text{Desktop}$
'Desktop' 키를 선택하면, 오른쪽 창에 수많은 값이 나타납니다. 이 중 화면보호기와 관련된 두 가지 주요 $\text{DWORD}$ 값(또는 $\text{String}$ 값)을 찾아 수정해야 합니다.
- 'ScreenSaveActive' 값: 이 값은 화면보호기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합니다.
- 'ScreenSaveActive' 항목을 더블클릭합니다.
- 값 데이터($\text{Value data}$)를 '0'($\text{화면보호기 비활성화}$)으로 설정합니다. ('1'은 활성화)
 
- 'SCRNSAVE.EXE' 값: 이 값은 화면보호기로 사용될 파일의 경로를 지정합니다. 화면보호기를 완전히 끄려면 이 값을 비워두거나 안전하게 'ScreenSaveActive'만 '0'으로 설정할 수 있지만, 확실한 비활성화를 위해 값을 비워두는 것이 좋습니다.
- 'SCRNSAVE.EXE' 항목을 더블클릭합니다.
- 값 데이터를 모두 지우고 빈 상태로 둡니다.
 
두 값의 수정을 마쳤다면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닫고 컴퓨터를 재부팅하거나, 윈도우에서 로그아웃 후 다시 로그인해야 변경 사항이 완전히 적용됩니다.
4. 화면 보호기 대신 전원 관리 설정 활용하기
화면보호기를 끄는 주된 이유는 작업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함이지만, 모니터의 수명 관리와 에너지 절약을 위해서는 '화면보호기' 대신 '전원 관리' 설정을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훨씬 현대적이고 효율적입니다.
전원 및 절전 설정 접근
윈도우 설정($\text{Settings}$)에서 '시스템($\text{System}$)'을 클릭하고, 왼쪽 메뉴에서 '전원 및 절전($\text{Power} & \text{sleep}$)'을 선택합니다.
화면 끄기 및 절전 모드 시간 조정
'전원 및 절전' 설정 페이지에는 두 가지 주요 설정 항목이 있습니다. 이 설정들을 조정하여 화면보호기 없이도 효율적인 전력 관리가 가능합니다.
- '화면($\text{Screen}$)' 꺼짐 시간:
- $\text{PC}$가 전원에 연결되어 있을 때(노트북의 경우) 또는 배터리로 작동 중일 때, 사용자가 아무런 입력도 하지 않으면 $\text{PC}$가 스스로 화면을 끄는 시간을 설정합니다. 화면보호기가 켜지는 대신,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모니터 전원만 꺼지므로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안 함($\text{Never}$)'으로 설정하여 화면이 계속 켜져 있게 할 수도 있지만, 환경 보호를 위해 적절한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절전($\text{Sleep}$)' 모드 진입 시간:
- 이것은 단순히 화면만 끄는 것이 아니라, $\text{PC}$ 전체가 저전력 상태(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시간을 설정합니다. 절전 모드는 화면이 꺼지는 것보다 더 많은 전력을 절약하며, 다시 작업으로 돌아왔을 때 빠르게 $\text{PC}$를 깨울 수 있습니다. 이 시간 역시 '안 함($\text{Never}$)'으로 설정할 수 있지만, 일정 시간 이상 $\text{PC}$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적절한 시간을 설정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처럼 화면보호기 기능을 완전히 끈 후, 전원 관리 설정을 통해 원하는 시간에 화면만 끄거나 $\text{PC}$를 절전 모드로 전환하도록 설정하면, 화면보호기의 불편함 없이도 모니터와 $\text{PC}$의 수명을 관리하고 에너지를 절약하는 최적의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윈도우 10 캡쳐, 아직도 어렵게 하세요? 쉽고 빠른 단축키 완벽 정리! (0) | 2025.10.30 | 
|---|---|
| 답답한 파일 찾기는 이제 그만! 윈도우 탐색기 초고속 실행의 모든 것 (0) | 2025.10.30 | 
| 윈도우 프로그래밍, 쉽고 빠르게 마스터하는 비결 대공개! (0) | 2025.10.29 | 
| 놓치기 아까운 순간들! 윈도우에서 음성 녹음, 가장 쉽고 빠르게 끝내는 비법 대공개 (0) | 2025.10.29 | 
| "로그인 불가" 패닉은 그만! 컴퓨터 윈도우 비밀번호 분실, 쉽고 빠르게 해결하는 완벽 (0) | 2025.10.2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