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formation

고용노동부 정보 활용! 육아기 단축근무 시 급여 계산 방법 알아보기

by 16skdjfa 2024. 3. 8.
반응형

고용노동부 정보 활용! 육아기 단축근무 시 급여 계산 방법 알아보기

 

육아를 하면서 직장 생활을 병행하는 부모님들에게 큰 도움이 되는 제도 중 하나가 바로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입니다. 이 제도를 활용하면 근로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 금액의 급여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급여 계산 방법이 다소 복잡하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용노동부가 제공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육아기 단축근무 시 급여를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 육아기 단축근무 급여란?
  • 육아기 단축근무 급여 계산 방법
    • 기본 계산 방식
    • 상한액 및 하한액 고려사항
    • 급여 명세 항목 구분에 따른 계산 방법
  • 육아기 단축근무 급여 신청 방법
  • 맺음말

육아기 단축근무 급여란?

육아기 단축근무 급여는 육아를 위해 근로 시간을 단축한 노동자에게 일정 부분을 보상해주는 제도입니다.

육아기 단축근무 급여 계산 방법

육아기 단축근무 급여는 크게 세 가지 항목을 고려하여 계산합니다.

  • 기본 계산 방식
    • 매주 최초 5시간 단축: 통상임금의 100% 지급
    • 이후 단축 시간: 통상임금의 80% 지급 (단, 상한액/하한액 제한 있음)
    • 통상임금: 평균 임금, 시간외수당 제외
  • 상한액 및 하한액 고려사항
    • 매월 최대 지급액 (상한액): 200만원
    • 매월 최소 지급액 (하한액): 50만원
  • 급여 명세 항목 구분에 따른 계산 방법
    • 통상임금만 포함된 경우: 간단하게 시간 단축 비율만 적용
    • 보너스, 식대 등 various 항목 포함된 경우: 각 항목 별로 비율 적용

예시

직원 A씨의 경우, 매주 근로 시간을 8시간에서 4시간으로 단축하였습니다. A씨의 평균 월급은 3,000,000원이며, 급여 명세에는 통상임금만 포함되어 있습니다.

  • 이 경우, 매주 단축 시간은 4시간 (8시간 - 4시간) 입니다.
  • 최초 5시간은 통상임금 100% 지급되므로 (3,000,000원 / 20) * 5 = 750,000원 을 받습니다.
  • 남은 1시간은 통상임금 80% 지급되므로 (3,000,000원 / 20) * 4 * 0.8 = 480,000원 을 받습니다.

따라서, A씨가 받을 수 있는 육아기 단축근무 급여는 총 750,000원 + 480,000원 = 1,230,000원 입니다.

육아기 단축근무 급여 신청 방법

육아기 단축근무 급여는 사업주가 신청 및 지급을 담당합니다. 하지만 근로자 본인이 먼저 사업주에게 육아기 단축근무를 신청하는 절차가 필요합니다. 필요한 서류 등은 사업주별로 다를 수 있으니, 소속 기업의 노무 부서에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맺음말

육아기 단축근무 급여는 육아와 직장 생활을 양립하는 데 큰 도움이 되는 제도입니다. 이 글을 통해 육아기 단축근무 급여 계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더 자세한 자료 보기

 

 

반응형